가실성당
경북 칠곡군 왜관읍 낙산리 614번지 전화 : 054) 976-1102
칠곡 가실성당은 1922~1923년에 신로마네스크 양식으로 건설된 아름다운 한국 근대 성당입니다.
일제 강점기 때 병원으로 이용되기도 했고, 1958~2004년도에는 낙산성당이라 불렸는데
2005년에 원래의 이름인 '가실성당'을 되찾았습니다.
가실(佳室) 본당은 경북 지역 초기 본당 중의 하나로 대구대교구 소속이며 설립일은 1894년 9월경이다.
초창기의 이름은 가실 본당으로 후에 행정구역명을 따라 낙산(洛山) 본당으로 개명되었다가
다시 가실 본당으로 변경되었다.
주보는 성녀 안나이다.
박해가 끝난 뒤 경상도 지방의 전담 신부로 임명된 로베르(Robert, 金保祿) 신부가 신나무골(지천면 연화리)에 거주하다가 1887년 대구 인근의 새방골[新坊谷]로 이주한 뒤, 신나무골에는 그의 보좌인 보두네(Baudounet, 尹沙勿) 신부와 조조(Jozeau, 趙得夏) 신부가 한때 거처하다가 각각 전주와 부산으로 부임하였다.
그 뒤를 이어 1894년에 입국한 파이야스(Pailhasse, 河敬朝) 가밀로 신부는 그 해 6월 신나무골에 와서 머물며 경상도 북부 지방을 맡아 전교하였으며, 9월경 가실(佳室, 왜관읍 낙산동 蘆湖)로 이주, 김회두(金會斗, 베드로) 소유의 기와집 한 채를 매입하여 성당으로 삼고 전교를 시작하였다.
당시 파이야스 신부가 담당한 전교 지역은 칠곡을 비롯하여 성주, 선산, 문경, 상주, 함창, 군위, 안동, 예천, 의성, 김천, 거창, 안의 등 경상도 북서부 일대와 충청도 황간, 전라도 무주 등지였으며, 공소는 17개소. 신자수는 777명이었다.
파이야스 신부는 이후 1898년 6월까지 이곳에서 전교하다가 황해도 장연의 두섭[道習] 본당으로 전임되고, 제2대 본당 주임으로 김성학(金聖學) 알릭스 신부가 부임, 3년 간 전교 활동을 하다가 1901년 김천 본당을 분리 설립하면서 그곳으로 이임하였다.
김 신부의 뒤를 이어 가실에 부임한 신부는 3대 즈와요(Joyau, 玉裕雅) 알퐁소 신부였는데, 그는 1903년에 성당을 증축하는 한편 사제관을 신축하였으며, 전교 활동에 노력하여 부임 당시 800여 명이던 신자수를 1,400명 정도로 증가시켰다. 그러던 중 나병에 걸려 1907년 1월 12일 30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하고 말았다.
이에 조선교구장을 맡고 있던 뮈텔(Mutel, 閔德孝) 주교는 이해 초에 입국한 소세(Saucet, 蘇世德) 히폴리토 신부를 제4대 본당 신부로 임명하였고, 그는 5월에 가실로 부임하였다.
이후 가실 본당은 1911년 4월 서울교구에서 대구교구가 분리 설정됨에 따라 새 교구 소속이 되었으며, 소세 신부는 이 해 7월 3일 대구 계산동 본당의 로베르 신부가 치료차 프랑스로 출국하자마자 계산동 본당의 보좌로 임명되어 가실을 떠나 대구로 이임하였다.
그렇지만 계산동 본당의 신자들뿐만 아니라 가실 본당의 신자들도 계속 방문하였으며, 그러다가 1912년 5월 전라도 일대에서 사목하던 투르뇌(Tourneux, 呂東宣) 빅토리노 신부가 제5대 주임으로 임명되었다.
투르뇌 신부는 1912년 5월 29일 가실 본당에 부임한 뒤 1924년 몇 개월 동안 임시로 교구 당가를 겸임함으로써 델랑드(Deslandes, 南大榮) 루이 신부에게 잠시 가실 본당을 맡긴 외에는 1944년 3월 지병으로 사망하기까지 일제 시대 대부분을 이곳 신자들과 함께 생활하였으며, 일제 치하의 어려움 속에서도 전교 활동에 노력하여 교세를 크게 확장시켰다.
그러나 1922년에는 문경의 점촌(店村) 본당과 상주의 퇴강(退江) 본당 분할로 김천 본당과 함께 관할 구역이 축소되었고, 게다가 신자들이 대구로 이전하면서 신자수가 줄게 되었다.
이후 그는 신자들과 함께 성당과 사제관을 건립하여 1925년 9월 28일에는 드망즈(Demange, 安世華) 주교가 참석한 가운데 교황 사절 지아르디니(Giardini)의 집전으로 성당 축성식을 거행하였다.
이와 함께 투르뇌 신부는 왜관(倭館) 지역의 전교에 힘써 1928년 2월부터 공소 신자들과 함께 성당 건축을 시작, 11월에 이를 준공하고 다음해 5월에는 왜관 본당을 분리하였다. 세 번째의 자본당인 왜관 본당의 설립은 가실 본당의 위축을 가져오게 되었다.
왜관은 새 중심지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었지만 가실은 시골 본당에 지나지 않게 되었고, 이에 드망즈 주교는 1933년 가실 본당을 노사제들을 위한 휴양 본당으로 설정하였다. 또 투르뇌 신부가 1935년부터 베르트랑(J. Bertrand, 韓聖年) 줄리앙 신부를 대신하여 자주 교구 당가 일을 보면서 본당 일이 종종 소홀해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그는 1943년 2월 지병으로 은퇴하여 주교관에서 휴양하던 중 사망하였다.
투르뇌 신부가 은퇴하면서 제6대 주임으로 부임한 사람은 마산에 있던 베르몽(Bermond, 睦世永) 줄리앙 신부였는데, 이때부터 ‘가실 본당’은 ‘낙산 본당’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1945년 3월 일제 총독부가 외국인 선교사들을 대구 남산 본당에 감금했으므로 4월 13일자로 이명우(李明雨) 야고보 신부가 왜관 본당에 부임, 낙산 본당의 제7대 주임 신부를 겸하였다.
이때부터 해방, 6 · 25 동란을 전후하여 본당의 주임 신부는 자주 교체되었으며, 한때는 왜관 본당 주임이 낙산 본당 주임을 겸하기도 하였다. 즉 베르트랑 신부가 다시 제8대 주임으로 부임(1945. 8)하였다가 부산 청학동 본당으로 이임(1946. 1)하면서 진주 장재리(長在里) 본당에 있던 안국목(安國牧) 마가리노 신부가 제9대 주임으로 부임하였고, 안 신부가 경주 본당으로 전임(1947. 6)되면서 계산동 본당 보좌였던 신상조(申相祚) 스테파노 신부가 제10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그리고 신 신부가 1년 만에 다시 계산동 본당 보좌로 전임(1948. 6)되고, 함양 본당에 있던 김영제(金永濟) 요한 신부가 왜관 본당에 부임하여 낙산 본당의 주임을 겸하다가 낙산 본당 주임으로 임명(1949. 10)되었다. 이어 김 신부가 밀양 본당으로 전임(1951. 4)되고, 밀양에 있던 류선이(柳善伊) 요셉 신부가 제12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낙산 본당은 이후 1952년 6월, 왜관 감목 대리구가 설정되면서 이에 속하게 되었다. 동시에 류 신부가 구마산 본당으로 전임되고, 베네딕도회의 최영호(崔榮浩) 비안네 신부가 제13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가 1953년 11월, 점촌 본당으로 이임하였다. 이때 본당의 제14대 주임으로 임명된 사람은 휴전 후 재입국한 베네딕도회의 뮐러(A. Muller, 모안세) 안스가리오 신부였으며, 동시에 새로 서품된 김성동(金聖道, 모이세) 신부가 초대 보좌로 임명되었다.
뮐러 신부 재임시에 본당의 활동은 매우 활발하였는데, 그 예로는 1954년 12월 8일에 개최한 본당 설정 60주년 행사, 이듬해 6월 12일 본당 최초로 실시한 성체 거동 행사를 들 수 있다. 또 이때부터 본당은 주임 신부의 이동이 적은 탓에 안정을 가져오게 되었고, 1970년대 초까지 약 1,300여 명의 신자수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제18대 주임 이동식(李東植) 베네딕도 신부 재임기인 1968년 9월 성체회 분원을 설립했다가 1970년 8월에 이를 철수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 농촌 인구의 도시 이주 현상이 심해지면서 젊은 층 신자들이 크게 줄어드는 동시에 신자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1980년대 이후에는 600-700명의 교세만을 유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자연히 본당 신자들의 활동이 위축되어 왔고, 활동 단체도 줄어들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자들은 1986년 1월 레지오 마리애를 도입하는 등 신심 활동을 활성화하는 데 노력하였고, 소공동체 활동과 친교에도 힘쓰게 되었다.
이후 본당은 1986년 2월 28일, 왜관 감목 대리구의 폐지로 대구대교구 소속 본당으로 변경되었으며, 1990년 10월 설립 100주년 기념관을 건립하였다. [출처 : 차기진, 한국가톨릭대사전 제2권] (글 출처- http://info.catholic.or.kr/holyplace/list.asp)